C언어 함수 포인터의 활용
C 언어에서 함수 포인터는 함수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로,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하거나 반환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. 이번 예제에서는 함수 포인터를 사용하여 두 수를 더하거나 빼는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.
덧셈과 뺄셈 함수 정의
다음은 함수 포인터에서 사용할 덧셈과 뺄셈 함수를 정의한 코드입니다.
void add(int a, int b)
{
printf("%d + %d = %d\n", a, b, a + b);
}
void sub(int a, int b)
{
printf("%d - %d = %d\n", a, b, a - b);
}
add 함수는 두 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덧셈 연산을 수행하고, sub 함수는 두 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뺄셈 연산을 수행합니다.
함수 포인터를 매개변수로 받는 calc 함수 정의
다음은 함수 포인터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해당 함수를 실행하는 calc 함수를 정의한 코드입니다.
void calc(void (*func_ptr)(int a, int b), int a, int b)
{
func_ptr(a, b);
}
calc 함수는 함수 포인터 func_ptr과 두 개의 정수 값을 매개변수로 받아 해당 함수 포인터가 가리키는 함수를 호출하는 역할을 합니다.
함수 포인터와 배열을 이용한 덧셈과 뺄셈 함수 실행
다음은 함수 포인터와 배열을 이용하여 덧셈과 뺄셈 함수를 실행하는 코드입니다.
int main(void)
{
void (*operation_ptr)(int a, int b);
void (*operations[2])(int a, int b);
int a = 3;
int b = 5;
operation_ptr = add;
operations[0] = add;
operations[1] = sub;
operation_ptr(3, 5);
operations[0](a, b);
operations[1](a, b);
calc(add, 5, 5);
return 0;
}
위 코드에서는 operation_ptr 함수 포인터를 이용하여 add 함수를 가리키고, operations 배열을 이용하여 add와 sub 함수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. 그 다음, 함수 포인터 operation_ptr을 이용하여 add 함수를 실행하고, 함수 포인터 배열 operations를 이용하여 add 함수와 sub 함수를 각각 실행합니다. 마지막으로 calc 함수를 호출하여 함수 포인터 add와 두 개의 정수 값을 매개변수로 전달하여 덧셈을 수행합니다.
전체 코드와 실행 결과
코드: function_pointer_calc.c
#include <stdio.h>
// 정수형 변수 a와 b를 더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
void add(int a, int b)
{
printf("%d + %d = %d\n", a, b, a + b);
}
// 정수형 변수 a와 b를 뺀 값을 출력하는 함수
void sub(int a, int b)
{
printf("%d - %d = %d\n", a, b, a - b);
}
// 함수포인터 func_ptr과 정수형 변수 a, b를 매개변수로 받아
// 함수포인터 func_ptr이 가리키는 함수에 a, b를 전달하여 실행하는 함수
void calc(void (*func_ptr)(int a, int b), int a, int b)
{
func_ptr(a, b);
}
int main(void)
{
// 함수포인터 operation_ptr을 정의
void (*operation_ptr)(int a, int b);
// 함수포인터 배열 operations를 정의
void (*operations[2])(int a, int b);
int a = 3;
int b = 5;
// 함수포인터 operation_ptr이 add 함수를 가리키도록 함
operation_ptr = add;
// 함수포인터 배열 operations의 첫 번째 원소에 add 함수를,
// 두 번째 원소에 sub 함수를 각각 가리키도록 함
operations[0] = add;
operations[1] = sub;
// operation_ptr이 가리키는 함수(add 함수)를 실행함
operation_ptr(3, 5); // 대리자
// 함수포인터 배열 operations의 첫 번째 원소(add 함수)와 두 번째 원소(sub 함수)를 각각 실행함
operations[0](a, b);
operations[1](a, b);
// 함수포인터 매개변수로 add 함수와 5, 5를 전달하여 실행함
calc(add, 5, 5);
return 0;
}
함수를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3 + 5 = 8
3 + 5 = 8
3 - 5 = -2
5 + 5 = 10
결과 부분에서는 함수 포인터를 활용하여 덧셈과 뺄셈 함수를 실행한 결과가 출력됩니다.
operation_ptr(3, 5)
: operation_ptr 함수 포인터를 이용하여 add 함수를 실행한 결과 3 + 5 = 8이 출력됩니다.operations[0](a, b)
: operations 배열을 이용하여 add 함수를 실행한 결과 3 + 5 = 8이 출력됩니다.operations[1](a, b)
: operations 배열을 이용하여 sub 함수를 실행한 결과 3 - 5 = -2가 출력됩니다.calc(add, 5, 5)
: calc 함수를 이용하여 add 함수와 두 개의 정수 값을 매개변수로 전달하여 덧셈을 수행한 결과 5 + 5 = 10이 출력됩니다.
이렇게 함수 포인터를 활용하면 함수의 주소를 변수에 저장하여, 해당 변수를 통해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활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이 높아지며, 코드의 가독성도 높아집니다.